K-BIZ공간연구원

지식산업센터 연구/분양/중개 전문가 그룹


자료/스토리


[생각공장영등포]생각공장 영등포 : 지식산업센터 및 오피스 부동산 시장 이해

조회수 407

이번에는 생각공장영등포에 대한 설명보다는

기존의 지식산업센터 및 서울 주요 업무권역의 오피스 관련 부동산 시장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합니다.




[서울 프라임급 업무시설 시장현황]


서울시 주요 업무시설 거점에는 강남권역, 도심권역, 여의도권역, 영등포권역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이들 업무권역의 2023년 3분기 업무시설 평균 공실률은 1.57%, 임대료는 1㎡ 당 평균 27,600원(평당 91,000원)이라고 하네요.




이는 서울 주요 지역의 업무시설이 부족하여 사무공간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임대료 또한 만만치 않겠죠.

게다가 최근 몇 년 동안 경제환경에 악재가 겹치는 바람에 기업 경영이 많이 위축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기존에 서울 주요 업무권역에 자리잡고 있는 혹은 외부에 있는 기업이 성장에 따른 업무공간 확대 이전이 필요할 경우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하는 것이죠.


그래서 자연스럽게 프라임급 지식산업센터를 찾게 됩니다.

그런데 서울 권역 역세권 인접 신규 혹은 분양 중인 지식산업센터 공급이 부족하여 분양가가 지속적으로 상승추세로 연결되어, 자칫 상향 평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프라임급 업무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준공 때까지 기다리기 보다는 분양이 시작되었을 때 미리 움직이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다음은 주요 권역별 지식산업센터 분양가 추이를 정리한 것입니다.

참고하면 좋을 것입니다.


강서 : 가양 CJ부지 (24년 하반기)

  - 연면적 : 168,944평 (2-3BL)

  - 입지 : 9호선 양천향교역 역세권

  - 분양가 : 평균 35,000천원/평 (예정)


구로 : 오브로코스 구로

  - 연면적 : 18,205평

  - 입지 : 1호선 구일역 역세권

  - 분양가 : 평균 25,980천원/평 


가산 : 가산 3차 SV1

  - 연면적 : 17,663평

  - 입지 : 1,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역세권

  - 분양가 : 평균 29,500천원/평 


성수 : 파브릭 드 모네

  - 연면적 : 4,828평

  - 입지 : 2호선 성수역 역세권

  - 분양가 : 평균 36,000천원/평 


송파 : 문정 2차 SKV1

  - 연면적 : 9,350평

  - 입지 : 8호선 문정역 역세권

  - 분양가 : 평균 27,000천원/평 



[정리]


오늘은 주요 지역 오피스 시장 흐름과 지식산업센터 분양가 추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생각공장 영등포"의 특장점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당산역 역세권에 위치한 "생각공장 영등포"가 10월에 분양오픈 예정입니다.


지식산업센터 23년 경력의 전문가가 운영하는 K-BIZ공간연구원에서 상담을 진행합니다.

아직 분양오픈 전이지만 현재 “사전입주의향서”를 받고 있습니다.


사전입주의향서 작성 후 상담을 통해서 원하는 층과 호실을 미리 선점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으니 설펴보시면 좋겠습니다.


상담전화 : 1566-8111

좀 더 알아보기 : https://kbizspace.com




#생각공장영등포 #생각공장영등포오픈 #생각공장영등포분양오픈

#당산역지식산업센터 #영등포지식산업센터 #영등포생각공장 #당산지식산업센터

#당산지역지식산업센터 #당산동지식산업센터

#당산역생각공장 #생각공장당산



#지식산업센터성공스토리 #지식산업센터분양사례 #사무실분양 #영등포지식산업센터 #당산동지식산업센터

#생각공장영등포 #영등포생각공장 #당산SKV1 #당산역1차 SK V1 타워 #당산역2차 SK V1 타워 #영등포자이타워 #생각공장당산 #당산생각공장 #한영IT타워 #구로한영IT타워




Brand Identity

Knowledge Business Space Research Center

K-BIZ공간연구원의 본질은

기업의 성장 Cycle에 최적화 된 공간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기업은 입체적 공간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우리는

기업 경영 요소를 끊임 없이 공부하고

이에 연결된 공간 형태를 이리저리 돌려보며 보며

매칭 관계를 끊임 없이 연구하고 현장에 적용합니다.